봄철마다 우울하다면 ‘계절성 우울증’ 의심해야

신영경 기자 2024.04.04 08:56

전문가 도움받고 상호 작용 활동 권장

‘스프링 피크(Spring Peak)’는 1년 중 봄철에 자살률이 가장 높은 현상을 말한다. 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등록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매해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2021년 3월, 2022년 4월, 2023년 5월이었다. 스프링피크의 원인에 대해 아직 명확히 밝혀진 건 없다. 다만 봄철 우울증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된다.

봄철 우울증은 심리·사회적 요인과 관련 있다. 입학, 졸업, 취업 등 변화가 많은 시기에 적응을 못 하거나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2년 이상 봄철마다 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땐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우울증이 생기면 침울한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회복되지 않는다. 침울한 기분은 쓸쓸함, 슬픔, 불안, 절망, 허무, 답답함, 초조함 등 다양한 감정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면 직업적·사회적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누구나 우울할 수 있다는 통념 때문에 방치되기 쉬운 것이 문제다. 우울증은 조기 진단과 재발 방지 치료가 핵심인 질환이다. 증상이 의심되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우울증의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생활습관 개선, 약물치료와 함께 심리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다. 약물치료는 환자가 보이는 증상, 약물의 부작용, 과거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처방 비용 등을 고려해 적합한 약제를 처방한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더라도 치료 효과는 투여 직후가 아닌 약 2주 뒤에 나타난다. 따라서 쉽게 포기하거나 실망하지 말고 꾸준히 투약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의사와 환자가 대화를 나누는 면담 치료와 전기경련요법, 두개경유자기자극술, 심부뇌자극술, 미주신경자극술, 광 치료 등이 있다. 전기적 치료는 유용성과 안전성이 확립돼 있지만, 환자와 보호자의 거부감이 있는 편이다. 아무래도 약물치료보다 낯설고 두렵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적 치료를 처음부터 사용하기보다 약물치료만으로 충분한 호전을 보이지 않을 때 고려한다.

우울증은 감기와 같은 병이다. 누구나 걸릴 수 있다. 기분이 평소와 같지 않다면 언제든 편하게 전문의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는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신뢰할 수 있는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 간의 대화 등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며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수영처럼 여러 사람과 어울리며 배우는 가벼운 운동이 도움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한 교수는 “특히 봄에는 시기적 특성상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비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보다 자신의 현재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