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드는데 30분, 하루 8시간 이상 자는 노인 치매 위험 높아

박정렬 기자 2018.04.03 10:57

분당서울대병원 60세 이상 4년 간 추적관찰. "수면 습관이 뇌 퇴행성 변화 보여줘"

고령층의 수면 패턴 변화가 경도인지장애·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를 보여주는 '신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3일 60세 이상 정상·경도인지기능 장애 노인 총 2893명을 4년간의 추적 관찰한 결과 잠드는데 30분 이상 걸리는 경우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 동안 수면과 인지기능 저하와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일부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수면습관이 치매 등 인지기능 저화와 연관돼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관된 연구 결과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으로 각각 구분해 진행했다. 설문을 통해 수면의 질, 총 수면 시간, 잠드는 데까지 걸린 시간, 취침·기상 시간 등을 조사한 뒤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먼저 정상 노인을 4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길면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40%p 높았고, 총 수면 시간이 8시간 이상인 경우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70%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년 간 이런 수면 패턴을 유지한 사람이나, 이 기간에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늘어난 사람은 인지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2배나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상대적으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의 중간점이 새벽 3시보다 늦은 사람)은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오히려 40%p 낮았다. 새벽 3시는 국내 성인의 평균 수면 중간 점이다. 김기웅 교수는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시상하부 기능이 손상되면 낮에 쌓인 수면 욕구를 이겨내지 못해 더 일찍 잠들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며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뇌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 확률이 낮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잠들 때까지 시간이 인지기능과 연관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 시간이 30분 이상으로 긴 사람은 4년 후 인지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30%p 낮았다. 원래 정상이었지만 최근 4년 사이에 잠들 때까지 걸린 시간이 길어진 사람 역시 정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40%p 낮았다.

단,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경우 수면 패턴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낮은 쪽으로 변화했다 해도 실제 뇌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4년 새 잠드는 시간이 30분 미만으로 짧아졌거나, 수면 중간 점이 3시보다 늦어졌다고 해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서승원 임상 간호사는 "이는 수면 습관이 직접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이미 진행되고 있는 인지저하를 나타내주는 표지 역할을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는 “간단한 설문을 통해 수면 패턴을 파악하면 이를 통해 치매 고위험군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높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에 더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 지원으로 8년째 진행 중인 ‘한국인의 인지 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신경학 분야 국제 학술지 '신경학회보'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관련 기사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