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분석한 심전도 노화 정도를 바탕으로 심방세동 발병 위험성을 예측하는 길이 열렸다.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정보영·유희태 교수와 조승훈 강사, 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와 대학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과 엄수정 석사과정 졸업생은 심방세동 위험성과 조기 발병률을 예측하기 위한 심전도 노화 분석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심장학 분야 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에 실렸다.
심장 박동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는 심전도는 심장 질환 진단에 사용된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해 심전도 검사 분석을 기반으로 심장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시도가 이뤄진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이 보유한 약 150만개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를 학습시켜 심전도 노화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6개국 심전도 데이터 약 70만개와 비교 분석하며 AI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절차도 거쳤다. 특히 한국인 심전도 데이터베이스로 학습시킨 AI가 미국 메이요클리닉, 영국 바이오 뱅크를 통해 인종이 달라도 같은 결과를 내는지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팀은 검증을 마친 AI 모델을 사용해 4개의 다국적 코호트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은 약 28만 명을 대상으로 심전도 노화 정도와 심방세동 위험성을 분석한 결과, 심전도가 노화된 A그룹(5만108명)은 정상인 B그룹(23만504명)보다 심방세동 발병 위험도가 1.86배 높았다. 또 66세 이상이 되기 전에 심방세동이 발병한 위험도는 A그룹이 B그룹의 2.07배였다.
또한 심전도 측정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한 살 많아질수록 심방세동 발병률은 3%씩, 조기 발병 위험도는 4%씩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심전도 노화 정도와 심방세동 발병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에 따라 다른 심장 질환에 대한 조기 예측·예방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보영 교수는 “심전도 노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AI로 비침습적인 심방세동 발병 예측이 가능해졌고 기존의 측정법 가운데 가장 우수한 예측도를 보였다”며 “심전도가 심장 질환 진단의 중요한 바이오마커인 만큼 심방세동뿐만 아니라 다른 심장 질환 예측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