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에 콧물 훌쩍인다고 감기약 먹었다간…

이민영 기자 2016.11.10 09:08

간지러움 동반한 콧물은 알레르기 비염, 방치하면 축농증으로 악화

춥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콧물을 훌쩍이는 사람도 는다. 그렇지만 찬바람에 콧물을 난다고 무조건 감기약을 복용했다간 큰코다칠 수 있다. 급성 비염(코감기)와 알레르기 비염은 증상이 비슷해도 치료법이 다르다.

감기라고 불리는 질환은 급성 비염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다. 비염은 크게 감염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호르몬성 비염 등으로 다양하게 나뉜다. 여기서 급성 비염은 감염성 비염에 속한다.

대부분 바이러스가 주원인이다, 추운 날씨, 낮은 습도, 영양 부족, 과로, 스트레스, 비타민 결핍, 면역 기능 저하 등도 급성 비염을 발생시킨다. 환절기나 겨울철에 감기가 많이 발생하는 건 추운 날씨로 인해 실내 공기의 환기가 부족하고 여러 사람들이 모여 바이러스의 전파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증상은 두통, 오한, 근육통, 식욕 상실 이다. 코에서는 자극감과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이 오고 후각도 무뎌진다. 이차 세균감염으로 인해 누런 콧물이 생기고 코막힘이 심해질 수도 있다.

대부분은 합병증 없이 1~2주가 지나면 증상이 호전된다. 간혹 코의 분비물이 목으로 흘러 인두염이,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을 통해 바이러스나 세균이 전파되면 급성 중이염으로 악화한다. 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코 옆쪽이자 광대 아래쪽의 동굴과 같은 구조인 부비동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전파되고 코 점막의 부종으로 인한 부비동 배출구멍이 폐쇄되면 부비동염(축농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1주일 이상, 간지러움을 동반한 콧물은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비염도 환절기 감기가 발생하는 시기에 콧물, 재채기, 코 막힘 등의 증상과 함께 잘 생긴다. 보통 코감기는 1~2주내에 증상이 나아진다. 반면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물질이 사라지지 않으면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증상이 계속된다. 감기처럼 발열과 전신의 근육통이 동반하진 않는다.

알레르기비염은 감기증상과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엄연히 다르다.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한다.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외에도 눈이 충혈 되거나 눈과 코 주위가 가렵고, 후각 감퇴와 두통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 알레르기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가래가 많이 생기고 면역력이 약해져 감기에 쉽게 걸린다. 집중력이 떨어지고 만성피로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늘 편도가 부어있고 후두염이 생기며 천식이나 축농증 등으로 병이 진행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환자가 누런 콧물이 나온다면 축농증이 동반된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한다.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반응검사나 피검사로 원인 항원을 파악하고 적절한 처방을 받아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의 환경적 원인은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이나 비듬, 바퀴벌레 따위의 곤충 부스러기 등이다.  음식물, 음식물 첨가제, 약물도 원인이 된다. 환자들마다 예민하게 반응하는 원인물질이 다르므로 어떤 사람은 1년 내내 증상이 있고 어떤 사람은 한 계절에만 증상이 있기도 한다. 을지대병원 이비인후과 최명수 교수는 “특정한 환경 또는 계절에 증상이 나타나거나, 2주 이상 콧물이 흐르는 등 증상이 지속된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보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임산부, 합병증 위험 있으므로 치료해야


알레르기성 비염과 코감기를 본인이 잘못 판단해 다른 약을 장기 복용하면 내성이 생겨 약물 중독성 비염으로 진행되거나 혈압 등 다른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비염은 합병증이 없다면 항생제보다는 증상에 대한 적절한 진통해열제와 진정제를 복용한다. 휴식과 수분 섭취, 적절한 습도(45%)와 온도 조절(18~20℃), 규칙적인 식사를 통한 충분한 영양 공급 등을 통해 회복할 수 있다.?

코감기약 중 항히스타민제제는 콧물을 마르게 해 훌쩍거림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목과 기관지의 점막도 말라 입이 심하게 마르거나 콧물이 고여 축농증을 유발할 수 있고, 잠이 쏟아지는 등 부작용이 있어 주의한다. 최명수 교수는 “부작용 때문에 약 복용을 꺼리는 수험생이나 임산부는 2차 세균감염으로 발열 등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권한다”고 말했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는 원인물질에 노출을 줄이는 환경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한다. 알레르기비염의 원인은 대부분 일상생활에 밀접해있으므로 노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는 어렵다. 침구류를 자주 햇볕에 말려 일광소독을 하고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고 마스크를 쓰고 외출하는 생활 속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1차 치료에 효과를 못 보면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면역요법과 콧속살의 부피를 감소시키거나 휘어진 코중격을 펴주는 수술로 치료한다.

관련 기사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