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피웠던 뇌졸중·심근경색 환자 중 절반은 치료 후에도 금연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심장·뇌혈관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환자 스스로 자신을 더 큰 위험에 빠트리고 있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신한대 김현숙 교수와 서울대병원 임유경 전공의 공동 연구팀은 9일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10년(2003~2012년) 간 심장·뇌혈관질환자 1700여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발병 이후다. 전체 대상자 1700명의 흡연율은 발병 이전 28.6%에서 16.3%로 채 절반이 줄지 않았다. 기존 흡연자 486명 중 49.4%인 240명은 금연하지 않았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반 갑 이상 ▶30년 이상 흡연을 하는 환자는 발병 후에도 흡연할 확률이 더 컸다.
오히려 담배를 다시 혹은 새로 피우는 환자가 더러 있었다. 병에 걸리기 전 금연한 194명 중 13명(6.7%)은 다시 담배를 폈다. 또 담배를 입에도 댄 적 없던 24명은 발병 이후 담배를 처음으로 핀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환자가 담배를 피우는 원인을 우울감·상실감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했다. 통상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일반인보다 우울증 유병율이 2~3배 더 높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경험하면 건강을 챙기는 행동을 할거라 여기지만 그렇지 않았다”며 “여전히 많은 환자가 흡연을 지속하는 만큼, 의료진들이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금연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금연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공동 연구자인 김현숙 신한대 간호학과 교수(대한금연학회 부회장)는 “금연치료지원사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암, 심장·뇌혈관질환 환자에겐 활성화되지 않았다”며 "입원·수술 후에는 금연의 동기가 높은 만큼 이를 활용한 금연프로그램 등이 개발돼 적용되야 할 것"이라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공공의학도서관의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원'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