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혈관이 막히면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한다. 심근경색은 심정지 발생 4~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이를 포함한 최대 2시간이 골든타임이다. 급성 심근경색이 의심되면 우선 119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급성 심근경색은 심장마비로 이어지기 쉽다.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심장마비 후 5분만 경과해도 뇌손상을 초래한다. 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심폐소생술을 신속히 해야 한다.
심페소생술은 구급 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흉부 압박을 5~6cm 깊이로 분당 100회 속도로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인공호흡이 어렵거나 불편한 경우 흉부 압박만이라도 시행하면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시술할 수 있는 병원에 도착하면 막힌 혈관을 뚫는 약물을 사용하거나 혈관을 물리적으로 뚫어주는 시술(경피적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을 수 있다.
심장은 신체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피를 짠다. 전기 신호가 불규칙하게 발생하면 부정맥이 발생한다. 부정맥 환자는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호흡 곤란을 호소한다. 그러다 의식을 잃고 심장마비가 올 수 있다.
자동제세동기는 치명적인 부정맥을 자동으로 분석해 전기적인 치료를 가하는 기구다. 공공기관, 지하철, 공항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의식을 잃고 쓰러진 환자에게 자동제세동기를 부착함으로써 부정맥으로 인한 심장마비 치료를 도울 수 있다.
어눌한 말, 얼굴 마비, 편마비 오면 뇌졸중 의심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뇌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뇌경색으로 구분한다. 뇌졸중은 내원 전 사망률이 심근경색에 비해 낮다. 뇌경색의 골든타임은 3~6시간으로 알려져 있다. 혈전 용해술은 3시간에서 4시간 30분, 동맥 혈전 제거술은 6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한다. 병원에 도착하더라도 시술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 수 있다. 뇌졸중 환자는 되도록 3시간 이내에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가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는 경우는 50% 미만이다. 뇌졸중은 어눌한 언어, 얼굴 마비, 편마비, 걸을 때 한쪽으로 넘어지는 증상이 있을 때 의심할 수 있다. 뇌졸중으로 의심되면 신속하게 응급실이나 전문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경우(일과성 허혈 발작)도 있어 환자 스스로 큰 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해 병원 방문이 늦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는 더 큰 뇌경색의 전조가 될 수도 있으므로 의료진의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
치명적인 심장·뇌질환, 골든타임을 기억하라
김선영 기자
2018.05.30 17:23
글자 크기조절
급성 심근경색은 최대 2시간, 뇌졸중은 3시간 이내 병원 이송해야
심장·뇌는 응급 상황에 취약하다. 위급 상황이 왔을 때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생사가 갈린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응급의학과 최승운 교수의 도움말로 심장·뇌질환의 골든타임과 올바른 대처법을 알아봤다.
주간 인기글
- 1여성 건강 좌우하는 호르몬, 어떻게 활용할까
- 2폐암 수술은 완치해 생존율 높다는 뜻, 폐 기능도 회복돼
- 3강북삼성병원, 베트남에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전수
- 4집 안에서만 생활하는 영유아도 백일해에 걸린다? 모체 면역 통한 대비 필요
- 5복통에 설사까지…젊은 층 위협하는 이 병은?
- 6다리 아파 밤에 울더니 낮엔 멀쩡…성장통이 뭐길래
- 7꿈 속 행동이 현실로 이어진다? 렘수면행동장애 바로 알기
- 8세계적인 통증 전문가 한국 집결…WSPC 학술대회 개최
- 9“안구건조증 있으면 더 심해지는 알레르기 결막염, 눈물량 보호가 중요”
- 10서울아산병원, 림프계 질환 치료·연구 세계 최고 수준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