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전남대병원·충남대병원·부산대병원·양산부산대병원·전북대병원·울산대병원·조선대병원·을지대 을지병원 등 국내 9개 대학병원 어지럼증 전문의들은 28일 "어지럼증·멀미 증상이 심한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편두통 예방약을 투약한 결과 치료 1개월 뒤부터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 등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편두통 치료는 주로 약물을 이용한다. 편두통이 발생하거나, 발생하려고 할 때는 ‘급성기 치료’ 약물을, 이보다 두통 발작이 잦은 경우에는 두통이 없는 평상시 ‘예방 치료’ 약물을 쓴다.
공동 연구팀은 총 1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 치료'에 쓰는 ▶베타차단제(심혈관계약물) ▶칼슘채널차단제(심혈관계약물) ▶항우울제(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 중 하나 이상의 약물을 3개월 이상 투약한 뒤 두통·어지럼증 등의 증상 수준과 삶의 질의 변화를 파악했다.
그 결과, 편두통 예방약물 치료 후 효과는 처방 후 1개월 뒤로 나타나기 시작해 3개월 째는 뚜렷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
편두통 예방약물 투약 전후 두통 등 증상 점수 변화 [자료 분당서울대병원]
어지럼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점수화해 비교한 결과도 15.3점에서 9.7점으로 줄어 환자가 겪는 일상생활의 불편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논문의 책임 저자인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지수 교수는 “1년에 한두 번 정도로 편두통 발작 빈도가 낮다면 발작이 있을 때에만 급성기 약물로 치료 하는 것을 권한다. 반면 편두통을 한 달에 2~3번 겪는 경우는 두통 증상은 물론 어지럼증·멀미 등을 완화하는 치료로 예방약물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지수 교수 [사진 분당서울대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