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은 대표적인 뇌졸중 합병증이다. 말을 이해하고 말을 하게하는 뇌 부위가 손상되면 실어증이 올 수 있다. 김유환 교수는 “실어증이 온 환자에게 짜증을 내거나 답답해하면 환자는 위축돼 말하는 것을 더 어려워하게 된다”며 “말하는 것을 많이 들려주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운동마비도 뇌졸중이 불러올 수 있는 합병증이다. 신체 부위가 마비되면서 몸이 축 늘어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뻣뻣해진다. 보통 운동마비는 다리 쪽보다 손에 더 심하게 오며 회복도 더딘 편이다. 운동마비가 심해지면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한 방향으로 굳어지는 경직 현상이 올 수 있다. 심하면 관절까지 굳어버리는 관절 구축도 나타난다. 황교준 교수는 “다른 사람이 환자의 관절을 꾸준히 움직여줘야 경직과 구축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뇌 손상으로 감정·기분 제어 잘 못해 우울감 잘 느껴
뇌졸중 환자는 감정 변화가 흔하게 나타난다. 뇌 손상으로 기분이나 감정을 제어하는 부분이 영향을 받아 우울감을 느끼기 쉽다. 게다가 환자는 외형 변화, 독립적인 행동과 조절 능력의 상실,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우울한 감정을 많이 느낀다.
이런 환자는 눈물을 자주 흘릴 뿐 아니라 권태감, 지루함, 무관심, 집중력 저하, 수면과 식이장애, 불안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우울감은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어 환자가 우울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김유환 교수는 “환자가 다른 사람과 대화하면 외로움이 줄고 가족과 친구로부터 격려를 받고 있다고 느낀다”며 “뉴스 보기, 산책, 취미 활동을 하고 삶의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환자가 뇌졸중이란 질환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 교수는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면 불필요한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며 “환자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해 한계를 인정하고 기대감을 낮춤으로써 실망감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환자의 심한 우울감이 계속된다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전문적인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
가족사진·익숙한 이불 등 이용해 현실 인식 도와야
뇌졸중을 겪으면 시간 개념이나 주위 환경에 대한 인식이 없어지기 쉽다. 의사소통 능력과 기억력도 떨어질 수 있다. 인지 기능 손상은 다른 장애와 달리 회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조급한 마음을 갖기 보단 환자 상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먼저 시간 개념을 일깨워주는 것이 좋다. 낮과 밤을 구별해주고 시계·달력·라디오·TV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황교준 교수는 “기억력이 떨어지며 현실 인식이 부족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족사진이나 특별한 그림, 자주 사용하던 담요나 이불 등 환자에게 친근한 물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며 “의미 있는 사람과의 전화나 편지도 환자의 현실적응에 도움을 주며, 하루일과를 규칙적으로 정하고 수면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한 무기력을 느끼는 환자의 행동 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한 번에 하나의 자극이나 지시를 주고, 환자가 반응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줘야 한다. 환자가 오해나 망상을 가질 때는 현실감을 가질 수 있도록 차분하게 설명해주되 환자와의 논쟁은 피하는 것이 좋다. 김유환 교수는 “환자가 기억장애로 인한 실수를 할 때마다 보호자가 지적하면 환자의 불안과 우울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며 “이치에 맞지 않더라도 일단은 환자의 기억장애를 감싸주고 기억단서를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연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족이 간병 도맡기 어려울 때는 간병인 두는 것도 대안
뇌졸중은 치료 과정에서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주 간병인 혼자서 뇌졸중 환자를 간병하는 것은 신체적?정신적으로 많은 부담이 된다. 환자의 가족 모두가 치료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다. 만약 가족 구성원만으로 환자의 간병을 도맡기 어려울 때는 유료간병인을 고용하거나 무료간병인 파견서비스 등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방법을 진지하게 배워야 한다. 간병 과정에서 보호자가 환자를 들어 올리거나 움직이다가 허리를 다치는 것은 매우 흔하다. 간병으로 인해 피로하거나 우울증에 시달릴 수도 있다. 황 교수는 “간호사나 물리치료사에게 환자를 위한 올바른 자세관리 요령이나 병실 또는 집에서 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법 등을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자신의 몸과 마음의 건강을 챙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