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휘어진 척추측만증, 조기 발견 중요한 이유

박정렬 기자 2021.12.28 10:01

척추 건강 바로 세우기

척추는 우리 몽믜 기둥이다. S자 곡선(만곡)을 제대로 이뤄야만 중력의 압박을 견디며 충격도 잘 흡수할 수 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일직선이어야 할 척추가 10도 이상 옆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 ‘척추측만증’이라 한다. 소아청소년기 전체 인구의 1.5% ~ 3% 정도에서 발견될 정도로 환자가 적지 않다.

척추측만증은 대부분 특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전체 환자의 85%~90%를 차지한다. 선천적, 신경학적 이상이 원인일 수도 있다. 나쁜 자세나 다리 길이 차이, 골반 기울어짐 등에 의한 척추측만증은 의외로 환자가 많지 않다. 이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호전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은 방사선 촬영을 통해 만곡의 정도를 측정해 확진한다. 서 있을 때 어깨의 양쪽 높이가 다르거나 몸통이 비대칭인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여성은 유방 크기가 다르고 골반이 틀어져 보일 수 있다. 가장 정확한 것은 앞으로 팔을 뻗은 채 숙인 상태에서 등을 관찰하는 ‘아담스 전방 굴곡 검사’다. 해당 검사 시행 시 한쪽이 튀어나와 보이면 척추측만증일 가능성이 크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20도 미만의 측만은 특별한 치료 없이 주기적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해 경과만 관찰한다. 측만 정도가 20도를 넘어서면 보조기 착용을 검토한다. 단, 환자의 성장이 아직 진행 중일 때에만 해당하며 성장이 끝난 경우에는 고려하지 않는다. 보조기는 교정이 아닌 굴곡이 심해지는 것을 예방하고 늦추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측만증이 40도를 넘으면 수술을 통한 교정이 필요한데 50도가 넘을 경우 성장이 멈추더라도 매년 조금씩 나빠지며, 70도가 넘어가면 폐활량 감소, 폐질환에 의한 심부전까지 나타나기 때문이다. 수술은 금속 고정물을 사용해 균형을 잡고 척추 유합술로 교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고려대안산병원 정형외과 박지원 교수가 척추측만증의 조기 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고려대안산병원

고려대안산병원 정형외과 박지원 교수는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현재 환자의 측만 정도 및 골격성숙 정도, 그리고 향후 성장여력 등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시중에 떠도는 검증되지 않은 교정법이나 치료법에 현혹되어 돈과 시간만 낭비하는 사례가 많은데,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하루빨리 전문의를 찾아 상담받기를 권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환자의 대부분이 소아청소년기인데다가 특별한 증상과 일상의 불편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교정을 위해 부모들이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다"며 "전문의의 방침만 잘 따르고, 자녀들에게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고 안심시키며 외모의 자존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관련 기사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간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