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리 통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증상이다.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면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를 의심한다. 허리디스크의 주된 증상은 요통과 방사통이다. 허리를 중심으로 엉덩이까지 광범위하게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무릎 또는 발가락까지 통증이 이어지기도 한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고운 교수의 도움말로 허리디스크의 특징과 관리법을 알아봤다.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이 갑자기 발생했을 때 의심할 수 있는 대표 질환은 허리디스크다. 디스크(추간판) 조직이 파열돼 탈출한 디스크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을 뚫고 뒤로 밀려 나오면서 후방에 위치한 신경근이나 척수경막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킨다. 다만, 척추관 협착증이나 척추전방전위증과 같은 질환 탓으로도 허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요통과 하지 저림 등을 유발한다. 허리디스크와 증상은 유사하지만,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거나 쥐어짜는 듯하며 타는 것 같은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 장애와 근력 저하가 동반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앞쪽으로 밀려 나가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는 병이다. 통증뿐 아니라 허벅지 뒤쪽의 슬굴근군(Hamstrings)의 긴장으로 무릎을 편 채로 뒤뚱뒤뚱 걷는 경향의 비정상적 보행이 나타난다.
바른 자세 유지하고 다이어트 필수
추간판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하지만 노화 외에도 추간판의 퇴행을 가속화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경추 및 요추에는 추간판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정상적인 전만 곡선이 유지돼야 한다. 그러나 목이나 허리가 굴곡된 자세를 오래 취하는 등 잘못된 자세로 인해 전만이 유지되지 못하면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해 빠르게 손상된다.
추간판의 퇴행이 가속화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의자에 앉을 땐 배에 힘을 주고 허리를 세워 등을 똑바로 등받이에 기대는 자세가 가장 좋다.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볼 때 의식적으로 목이 앞으로 나가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화면을 눈높이로 맞추고 일정 시간마다 목을 뒤로 젖히는 등 스트레칭을 해주면 도움된다. 걸을 땐 양발을 어깨 너비쯤 벌리고 선 뒤 가슴을 펴고 턱을 당기면 허리가 펴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도 필수다. 복부 지방이 늘어나면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로 인해 척추는 앞으로 부하가 걸리면서 척추에 부담이 생기기 쉬운 자세로 변한다.
※추간판에 압박을 주는 요인 주의하세요
-의자에 비스듬히 기대앉는 경우
-다리를 꼬고 앉는 경우-등을 굽히고 구부정하게 걷거나 앉는 경우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많은 경우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드는 경우
-노화로 낮아진 골밀도와 디스크의 퇴행
-교통사고·낙상 등 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