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부 10명 중 7명, 명절 후 관절 통증 겪어
힘찬병원 설문조사 결과 명절 후 관절 통증을 경험한 비율은 10명 중 7명(70.7%, 357명)으로 명절 전(21.7%, 110명)보다 약 3배 이상 높았다. 명절 후 우울감을 느낀다는 비율(64.2%, 324명) 역시 명절 전(23%, 116명)의 2배 이상이었다.
명절 후 관절통과 우울감을 느끼는 경우는 갱년기 여성이 비(非) 갱년기 여성보다 더 많았다. 명절 후 통증 수준을 1~10점(점수가 클수록 통증이 큰 것)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갱년기 여성(219명)이 느끼는 관절 통증 정도는 평균 8점이었다. 반면 비 갱년기 여성 중 30~40대는 평균 5점, 60대 이상은 평균 7점으로 이보다 낮았다. 통증 지속 기간도 비 갱년기 여성은 평균 5일 정도였지만, 갱년기 여성은 평균 10일로 2배쯤 길었다.

주부들은 명절 기간 과도한 노동으로 인해 관절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관절 통증은 보행·수면 장애 등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이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 변화를 이끌 수 있다. [사진 힘찬병원]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관절 통증은 보행·수면 장애 등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이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 변화를 이끌 수 있다”며 “주부, 특히 가사 일을 전담하는 중년 갱년기 여성의 몸과 마음 건강을 위해 가족이 가사 노동을 적극적으로 분담하고, 충분한 대화의 시간을 갖는 등 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