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관절염 알리는 신호… 무릎 관절 질환 3가지

신윤애 기자 2018.02.06 17:41

이상 신호 미리 파악해 퇴행성관절염 예방하세요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서서히 진행돼 방치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연골 손상 범위가 넓어진다. 무엇보다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중앙포토]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무릎의 연골(물렁뼈)이 닳아 없어지며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무릎을 오랫동안 사용해 온 노년층에서 많이 발병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연골 손상 범위가 넓어진다. 퇴행성관절염을 방치해 무릎 위아래 뼈가 맞닿을 정도로 연골이 손상되면 관절 전체를 인공관절로 대체해야 한다. 강북힘찬병원 이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퇴행성관절염은 서서히 진행되는 탓에 병을 인지하지 못해 방치하기 쉽다"며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퇴행성관절염은 초기더라도 무릎에 여러 이상 신호가 있다. 욱신거리거나 혹이 만져진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무딘 사람은 잘 느끼지 못하는 정도다. 퇴행성관절염 초기의 대표 증상을 미리 알아두면 질병을 빨리 알아차리는 데 도움이 된다.

특정 자세 힘들다면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해야

퇴행성관절염 초기라고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무릎 관절 질환은 세 가지다. 첫째, 무릎 연골이 찢어지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다.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의 관절을 보호해주는 초승달 모양의 연골이다. 체중과 같이 무릎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해 무릎이 받는 충격을 줄여준다.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의 외상으로 손상되기도 하지만, 나이가 들며 약해진 연골이 자연스럽게 찢기거나 파열되는 게 대부분이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이 무릎 관절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치하면 퇴행성관절염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둘째, 무릎 앞부분의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슬관절 전방 통증 증후군’이다.  등산이나 마라톤처럼 다리를 많이 쓰는 운동을 자주하는 사람에게 잘 발생한다. 이처럼 무릎에 과도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주면 앞무릎 관절 주변에 염증이 생긴다. 염증 탓에 연골은 점점 탄력을 잃고 결국엔 아예 떨어진다. 이때부터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할 확률이 배가된다. 하지만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릎이 붓는 등 외적인 변화가 없어 알아채기 힘들다. 비행기의 이코노미석이나 영화관처럼 좁은 공간에서 무릎을 구부린 채 한 시간 이상 앉아있기 힘들다면 ‘슬관절 전방 통증 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셋째, 종아리와 허벅지를 이어주는 무릎 뒤편에 물혹이 생기는 ‘슬와 낭종’이다. 무릎 관절염, 연골판 손상 등의 이유로 무릎 뒷부분에 관절액이 차 부풀면서 물혹이 생긴다. 물혹은 다양한 크기로 나타나며 발생한지 오래돼 크기가 커지면 앉을 때 압박감이 든다. 이광원 원장은 “슬와 낭종은 주사기로 혹의 관절액을 빼는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며 “하지만 재발이 쉽고 퇴행성관절염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므로 치료 후에도 무릎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무릎 관절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계단을 내려가다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져 주저앉거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 관절이 어긋나 무릎을 구부리지도 펴지도 못하는 ‘잠김 현상’이 일어나거나 ▶앞무릎을 손으로 눌렀을 때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지거나 ▶무릎 뒤편에 혹이 만져지며 ▶혹의 크기가 작아졌다 커졌다 반복되고 ▶종종 혹이 단단해지는 것이다. 이때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좋다.

평소 무릎을 건강하게 하려면 규칙적인 운동이 효과적이다. 무엇보다 허벅지와 무릎 주변의 힘을 길러야 한다. 무리한 운동 보다는 평지를 매일 만보 이상씩 걸으면 좋다. 이때는 느리게 걷기 보다는 약간 땀이 날 정도의 빠르기가 좋다.

관련 기사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