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비교적 젊은 20대가 '중독 공존' 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조기 치료와 개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림대춘천성심병원·국립춘천병원·춘천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공동 연구팀은 1일 강원도 춘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892명을 대상으로 알코올·니코틴·도박·인터넷·스마트폰 등의 중독 실태와 각 중독 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한국판 알코올 의존 자가 검진 테스트, 한국판 니코틴 의존도
설문 도구, 한국판 문제 도박 측정 도구, 한국형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자가 진단 척도를 통해 대상자를 중독(일반보다 위험도가 큰 부류)과 비중독으로 분류했다. 전체 응답자의 33.3%(297명)는 비중독이고 나머지 66.7%는 한 가지 이상에 중독돼 있었다.
중독된 물질·행위 숫자는 한 개가 33.7%(301명), 두 개 19.5%(174명), 세 개 9.1%(81명), 네 개 3.7%(33명), 다섯 개 0.7%(6명)였다. 알코올 중독이 가장 많았고 니코틴, 도박·스마트폰, 인터넷 순이었다.
연구팀은 여기에 통계적 기법을 적용해 중독 간 연결고리를 파악했다.도박-스마트폰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나에 중독됐을 때 다른 것에 중독될 위험이 컸다.
인터넷 중독이 있을 때 스마트폰 중독 위험은 일반인이 스마트폰에 중독될 위험보다 34.71배나 높았다. 알코올 중독일 때 니코틴 중독은 5.69배, 니코틴-도박 3.35배, 알코올-도박 2.9배, 니코틴-인터넷 2.44배, 알코올-인터넷 2.35배 위험도가 높게 나왔다.
중독 메커니즘 비슷, 통합 관리 해야
이런 '중독 공존'의 이유는 물질·행위 등 중독의 원인과 관계없이 뇌의 보상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즉, 담배를 피우며 쾌락을 느낄 때 뇌 전두엽 등의 변화가 도박하거나 스마트폰을 만질 때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다.
한림대춘천성심병원 이상규 교수는 "하나에 중독되면 뇌가 다른 쾌락을 찾고 싶어 하고, 더 큰 자극을 얻으려고 해 다른 것에도 중독되기 쉽다"며 "따라서 중독은 통합적으로 치료·관리해야 한다. 지자체의 중독 관련 예산·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지난 9월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에 실렸다. 관련 논문(일 도시 중독 공존 실태와 상호 연관성)은 지난 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열린 '2017 한국중독정신의학회 추계 연수교육 및 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