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병원 산부인과 황우연 교수는 ”늦어진 결혼·초산 연령의 영향으로 젊은 여성에게서 자궁근종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과거 연구를 살펴보면,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전체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 유병률은 0.62%에서 2.48%로 4배 증가했으며 1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35~39세, 40~44세 연령군의 11년 누적 발생률은 각각 22.3%, 21.8%로 매우 높았다. 따라서 30대 후반부터는 적극적인 자궁근종 검진이 필요하다.

자궁근종 60%는 무증상
자궁근종은 발생한 위치와 크기에 따라 빈혈, 어지러움, 통증, 압박 증상, 배뇨곤란 증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약 60%는 무증상으로 산부인과에서 초음파 검사를 하지 않는 이상 조기식별이 불가능하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으나 유전자 이상과 호르몬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폐경 후에는 더 이상 커지지 않거나 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자궁근종을 치료할 때 로봇수술로 흉터를 최소화하면서 종양만 안전하게 제거하는 최소침습적 접근도 늘었다. 예전에는 개복 수술로 자궁근종만 절제하거나 자궁 전체를 절제하는 것을 표준 치료법으로 여겼다. 그러나 결혼·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자궁을 보존해 가임 가능성을 지키는 로봇 수술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황 교수는 “로봇 팔은 사람의 손보다 더 자유롭고 다양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며 3D 입체 카메라로 수술 부위를 사람의 눈보다 더 크게 확대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미세하고 섬세한 수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로봇수술은 미용적 측면에서도 환자 만족도가 높다.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통증도 적어 입원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비침습적 치료인 고강도초음파집속술(HIFU·하이푸)도 고려할 수 있다. 하이푸 치료는 돋보기로 태양열을 모아 종이를 태우듯 고강도 초음파를 이용해 자궁근종만 제거한다. 황 교수는 ”전신마취나 절개 없이 진행돼 당일 시술 및 퇴원으로 바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함에 따라 로봇수술과 마찬가지로 환자 선호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