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률 높은 심근경색, 생사 가르는 결정적 요소는

하지수 기자 2023.09.26 09:34

골든타임 안에 증상 파악해 응급조치 후 막힌 혈관 개통해야

날씨가 쌀쌀해지는 환절기에는 심혈관 질환 발병이 증가한다. 그중 하나가 심근경색이다. 특히 심근경색은 제때 적절하게 치료 받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커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강남베드로병원 심장내과 김경수 원장은 "심근경색은 국내 질환 중 사망 원인 2위이자 돌연사 원인 1위 질환으로 꼽힌다"며 "초기 사망률이 30% 이상인 데다 치료 시에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를 정도로 위험도가 커 질환에 대해 제대로 알아두는 게 좋다"고 했다.
 

혈액순환 완전 차단하는 심근경색

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피떡)에 막히고 이에 따라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괴사하고 심장마비, 심정지까지 이어지는 질환이다. 협심증과 비슷한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두 병은 기전에서 차이를 보인다. 협심증은 동맥 혈관이 75~90% 수준으로 좁아져 심장 내 혈액 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증상이다. 반면 심근경색은 혈전이 혈관을 막아 혈액을 완전히 차단한다. 이 탓에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심장 근육의 괴사까지 발생한다.

심근경색은 예상치 못한 순간에 나타날 수 있다. 평소 혈관이 깨끗하고 심전도 결과가 정상이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큰 혈전이 생기면 급성 심근경색을 겪을 수 있다는 얘기다. 예후도 좋지 않은 편이다. 회복하더라도 첫 1년간은 재발 위험이 있다. 재발 시 사망률은 최대 85%. 최초 심근경색 당시 겪는 심장 근육의 손상과 후유증 탓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발빠른 대처다. 골든타임 안에 증상을 파악하고 응급조치를 취한 뒤 최대한 빠르게 막힌 혈관을 개통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근경색의 증상을 평소에 잘 알아 두고 대처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가슴 짓누르는 통증이 대표 증상

심근경색의 가장 흔한 증세는 가슴 전체를 짓누르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다. 안정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해도 통증이 이어질 수 있다. 이밖에 체한 것처럼 속이 더부룩하거나 목과 턱, 어깨, 왼쪽 팔까지 이어지는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 김 원장은 "사람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작은 신호라도 지나치지 말고 제대로 원인을 파악하는 게 좋다"며 "증상의 강도가 세지면 즉시 병원을 찾아 심전도 검사, 심근 효소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등 전문 검사를 받고 치료를 진행하길 권한다"고 설명했다.

심근경색의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가능한 한 빠르게 혈관을 다시 뚫어주는 재관류 치료다. 가장 보편적으로는 합금 철망으로 혈관을 넓혀주는 스텐트 삽입 시술 등 관상동맥 성형술을 적용한다. 협착이 심해 효과가 없다면 다른 곳에서 여분의 건강한 혈관을 잘라 와 덧대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진행한다. 스텐트 삽입 시술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도 하지만 관상동맥우회술은 수술에 해당하며 전신마취 후 이뤄진다. 이후 증상에 따라 약물·비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잘못된 생활습관이 발병 위험 높여

심근경색의 위험 요인은 뭘까. 고지혈증·고혈압·당뇨 같은 질환과 흡연, 운동 부족, 고지방 섭취 식습관 등이 대표적인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저염식, 저지방식으로 식사하고 금연하는 등 생활습관만 바로잡아도 심근경색의 위험을 크게 낮추는 데 도움된다. 또 심근경색 고위험군에 해당할 경우 심혈관 건강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게 바람직하다.

김 원장은 "심근경색은 기전 상 예측과 대비가 거의 불가능하나 증상을 미리 숙지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면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며 "특히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심근경색 발병 위험 요인을 예방적 차원에서 관리하고 혈관 건강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게 건강한 일상을 지키는 방책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수 기자 ha.jisu@joongang.co.kr


 

<저작권자(c)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